JavaScript
-
-
Parameter와 ArgumentJavaScript/Basic 2022. 12. 13. 19:52
parameter와 arguement - 외부로 부터 값을 전달받기 위해 함수를 선언할 때 작성하는 것은 파라미터(Parameter), -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값은 아규먼트(Argument) function greeting(parameter){ console.log(`HI! I am ${parameter}`); } greeting(Argument); 파라미터에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면?! // parameter는 함수의 소괄호 안에 작성되는 것 function greeting(name){ console.log(`HI! I am ${name}`); } greeting(); // HI! I am undefined // parameter는 함수의 소괄호 안에 작성되는 것 function gre..
-
함수(Function)JavaScript/Basic 2022. 12. 13. 18:56
함수(Function)란?! 함수(Function)을 만드는 방법 1. 함수 선언문 - function 키워드를 통해서 함수를 선언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함수 선언 - 함수 이름 생략 불가능 - 호이스팅으로 인해서 함수를 선언하기 이전에 함수를 호출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특징 함수 선언 방식은 함수 스코프 function add(x,y){ return x + y; } 2. 함수 표현식 - 이 함수 선언을 변수에 할당하거나 다른 함수의 아규먼트(Arguments)로 활용하면서 마치 함수 선언을 값처럼 활용해서 함수를 만드는 방식을 함수 표현식 - 함수 이름 생략 가능 - 반드시 변수가 선언된 이후에 함수를 호출해야 정상적으로 동작 - 변수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할당된 변수의 특성에 따라 스코프가 결정 // ..
-
배열(Array) part3 -> 배열고차함수JavaScript/Basic 2022. 12. 13. 08:34
- 고차함수는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Array.prototype.sort - sort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를 정렬한다. 원본 배열을 직접 변경하며 정렬된 배열을 반환.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 - 내림차순으로 하려면은 reverse 메서드를 사용 const coffee =['Americano', 'Latte', 'Machiatto'] coffee.sort() // 오름차순 console.log(coffee); // ['Americano', 'Latte', 'Machiatto'] coffee.reverse(); // 내림차순 console.log(coffee); // ['Machiatto', 'Latte', 'Americano'] 배여르이 원소가 숫자타입일때는 배열의 요소를 일시..
-
프로그래머스(입문)_최댓값 만들기 (1)JavaScript/Coding_Problems 2022. 12. 9. 08:55
function solution(numbers) { var answer = 0; var max_num = Math.max.apply(null, numbers); numbers.forEach((item, index, numbers) => { if(item !== max_num){ let nums = item*max_num; if(answer < nums){ answer = nums; } } }) return answer } 테스트4, 틀림. 이유는 Array = [1,1,2,3,4,5,5] 가 이면은 max값을 제외하고 배열을 순회하기 때문이다. max값이랑 같은 값이 있을경우에는 틀린다. function solution(numbers) { var answer = 0; var max_num = Math.m..
-
StringJavaScript/Basic 2022. 12. 8. 08:54
String 생성자 함수 length 프로퍼티 String 메서드 String.prototype.indexOf - indexOf메서드는 대상문자열에서 인수로 전달받은 문자열을 검색하여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한다. 검색에 실패하면 -1를 반환 String.prototype.search - search메서드는 대상 문자열에서 인수로 전달받은 정규표현식과 매치하는 문자열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환. 검색에 실패하면 -1을 반환 String.prototype.includes - ES6부터 도입, 대상 문자열에서 인수로 전달받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를 true 또는 false로 반환 String.prototype.startswith - ES6부터 도입, startswith메서..
-
웹 개발 시작하기JavaScript/Webdevelopment 2022. 12. 7. 23:54
웹 개발(web development)란?! - 정적사이트(static site) - 동적사이트(dynamic site) 서버(Server)와 클라이언트(Client) 서버(Server) -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링크를 클릭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면 웹 사이트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웹 브라우저(web broswer)에 보여 준다. 이 때,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서버(Server)라고 한다. 즉, 서버(Server)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쪽 클라이언트(Client) -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근하려고 사용하는 PC나 태블릿 PC, 스마트 폰 등을 클라이언트(Client)라고 한다. 즉, 클라이언트(Client)는 정보를 요청하는 쪽 로그인예시 프론트엔드(FrontEnd)와 백엔드(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