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mputer Science
-
SSD 와 HDD 차이Computer Science/기타(Etc) 2023. 1. 28. 10:00
출처: https://recoverit.wondershare.kr/hardrive-recovery/ssd-hdd-whats-the-different.html SSD와 HDD의 차이점? SSD란? HDD란 무엇인가? SSD와 HDD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? recoverit.wondershare.kr https://recoverit.wondershare.kr/hardrive-recovery/ssd-hdd-whats-the-different.html
-
HTTP 상태코드(Status_code)Computer Science/HTTP 2023. 1. 26. 23:14
HTTP의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서버에서 알려주는 숫자 코드 HTTP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, 총 100번대 ~ 500번대 까지 존재한다. 그리고 각 상태코드의 첫 번째 자리는 최상위 코드가 되어 다음과 같이 5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관리된다. 이후에 따라오는 아래의 숫자들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내부 동작이나 원인에 있어 차이를 가지게 된다. 예를들어 403 과 404 는 클라이언트 오류를 의미하는 것은 동일하지만, 그 세부적인 원인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. Tip 각 상태 코드의 의미는 하나하나 정해져 있지만,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약속에 의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숙지하고 넘어가자. 예를 들면 상태 코드 200은 ..
-
-
relational DataBase vs non-relational DataBaseComputer Science/데이터베이스(DataBase) 2023. 1. 8. 17:36
웹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는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? 데잉터를 적절한 형태로 저장 데이터의 형태와 구조를 처음부터 잘 잡아놔냐 한다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릴레이셔널 데이터 베이스 >> SQLite3, MySQL, PostgreSQL 넌리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>> MongoDB, Cassandra ‘릴레이션(Relation)’은 ‘테이블’을 뜻하는데요.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논 릴레이셔널(non-relational)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습니다. 그럼 논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까요? 사실 하나의 방법이 정해져있지는 않는데요.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문서(document) ..
-
Web API vs Rest APIComputer Science/웹(Web) 2023. 1. 1. 10:52
우리가 어떤 리퀘스트를 보냈을 때, 무슨 리스폰스를 받는지는 모두 그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들이 정하는 부분입니다. 잠깐 실제 개발 현장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해볼게요. 개발자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. 첫 번째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화면을 보는 웹 페이지나 앱 등을 만드는 프론트엔드(Front-end) 개발자, 두 번째는 웹 브라우저나 앱이 보내는 리퀘스트를 받아서 적절한 처리를 한 후 리스폰스를 주는 서버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백엔드(Back-end) 개발자 WEB API - Web API를 설계한다는 것은 서비스에서 사용될 모든 URL들을 나열하고, 각각의 URL에 관한 예상 리퀘스트와 리스폰의 내용을 정리한다는 뜻 - WEB API가 설계되고 나면, 그때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들이 해당..
-
프로토콜(Protocol),Computer Science/네트워크(Network Work) 2022. 12. 18. 20:44
프로토콜 -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규칙 (예를 들어, 불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못하는 프랑스인이라면 '영어' 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대화할 수 있다. 이때! '영어 사용' 이 프로토콜이라 할 수 있다) OSI 모델 TCP/IP 모델 TCP/IP 모델 - IETF에서 제정 - OSI 모델 - 1970년대 후반, Open system interconnetcion 약자로써 ISO라는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만듬 - 등장 배경 1960~1970년대에는 같은 회사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다 (다른 회사와는 호환되지 않음) ISO가 데이터 통신의 규격과 프로토콜을 통일하려고 하였다. 하지만 통일화는 하지 못했다. - 통일화 하지 못한 이유 1) OSI 는 TCP/IP 모델이 완전히 자리잡은 후에 발..
-
URL구조Computer Science/네트워크(Network Work) 2022. 12. 18. 20:19
URL이란?! -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줄임말로써, 웹이 존재하는 특정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 URL구조 1.Scheme => 프로토콜(protocol) 부분을 가리킨다.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상에서 서버에게 데이터를 얻거나 전달할때(통신할때) 지켜야할 규약 2. Authority => 도메인(Domain Name)과 포트(Port)를 포함한다. 도메인네임이란 요청을 받는 단 하나의 서버를 지칭한다(IP address)와 같은 말이다. 포트(Port)란 요청받은 서버에서 자원(resource)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(Channel, gate)를 가리킨다. 대표적으로 HTTP는 80번 port, HTTPS는 443 port이다 3. 경로(Path) => 서버에 있는 데이터 중 원하..